[Book]Clean Code 6장

객체와 자료구조

자료 추상화

  • 구현을 감추려면 추상화가 필요하다!
  • 추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사용자가 구현을 모른 채 자료의 핵심을 조작할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의 클래스다.
  • 아무 생각 없이 조회(get)/설정(set)함수를 추가하는 것이 가장 나쁘다.

자료/객체 비대칭

  • 객체는 추상화 뒤로 자료를 숨긴 채 자료를 다루는 함수만 공개한다.
  • 자료구조는 자료를 그대로 공개하며 별다른 함수는 제공하지 않는다.
  • 자료구조를 사용하는 절차적인 코드는 기존 자료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새 함수를 추가하기는 쉽다. 반면, 객체 지향 코드는 기존 함수를 변경하지 않으면서 새 클래스를 추가하기 쉽다.
  • 절자척인 코드는 새로운 자료구조를 추가하기 어렵다. 그러려면 모든 함수를 고쳐야 한다. 반면, 객체 지향 코드는 새로운 함수를 추가하기 어렵다. 그러려면 모든 클래스를 고쳐야 한다.
  • 때로는 단순한 자료구조와 절차적인 코드가 가장 적합한 상황도 있다.

디미터 법칙

  • 모듈은 자신이 조작하는 객체의 속사정을 몰라야 한다.

잡종 구조

  • 절반은 객체, 절반은 자료구조인 잡종구조가 나온다.
  • 잡종 구조는 새로운 함수는 물론이고 새로운 자료구조도 추가하기 어렵다. 되도록 피하라.

자료 전달 객체

  • 자료 구조체의 전형적인 행태는 공개 변수만 있고 함수가 없는 클래스다. ⇒ 자료전달객체(Data Transfer Object, DTO)
  • DB와 통신하거나 소켓에서 받은 메시지의 구문을 분석할 때 유용하다.

활성 레코드

  • DTO의 특수한 형태
  • 공개 변수가 있거나 비공개 변수에 조회/설정 함수가 있는 자료 구조지만, save나 find 같은 탐색 함수도 제공한다. DB테이블이나 다른 소스에서 자료를 직접 변환한 결과다.
  • 활성 레코드에 비지니스 규칙 메서드를 추가해 이런 자료구조를 객체로 취급하는 개발자가 흔하다.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. 잡종구조가 된다.
  • 활성 레코드는 자료구조로 취급한다. 비지니스 규칙을 담으면서 내부 자료를 숨기는 객체는 따로 생성한다.

결론

  • 객체는 동작을 공개하고 자료를 숨긴다. 그래서 기존 동작을 변경하지 않은면서 새 객체 타입을 추가하기는 쉬운 반면, 기존 객체에 새 동작을 추가하기는 어렵다.
  • 자료구조는 별다른 동작 없이 자료를 노출한다. 그래서 기존 자료 구조에 새 동작을 추가하기는 쉬우나, 기존 함수에 새 자료 구조를 추가하기는 어렵다.
  • 시스템을 구현할 때, 새로운 자료 타입을 추가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면 객체가 더 적합하다.
  • 새로운 동작을 추가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면, 자료 구조와 절차적인 코드가 더 적합하다.
  • 우수한 SW 개발자는 편견없이 이 사실을 이해해 직면한 문제에 최적인 해결책을 선택한다.

카테고리:

업데이트:

댓글남기기